-
어캄
-
서성한 편입 생각 있는데 솔직히 엄청 간절하진 않아요 경희 정경대 다니는데 과가...
-
..?
-
웃기다 0
웝
-
게이게이게이 3
-
경제대통령
-
서성한 공대 ㄱㄴ한가요?
-
등비급수 도형넓이∞ 구하는 문제요 삼도극은 확실히 안나올거같고.. 가끔 실모풀면 있어서
-
수능에서 베네핏이 될 수 잇을까요
-
무슨 짧은 선지 ox도 쳐틀리네 씹새끼 진짜
-
발표8분전 3
착석착석
-
하루 자고 오려니까 10이깨지네.... ktx비때문에 본가도 자주 못오겠음
-
제가 노베인데 김기현쌤꺼 파데 상하 듣는중인데 인강보고 개념익히고 문제 풀러가는데...
-
옛날에 2
낮은 산 정상에 할아버지가 살앗어요 할아버지는 나이가 많앗답니다 제가 간단하게 써본...
-
자전 추합률 2
보통 자유전공 추합률이 얼마나 되나요?? 나군 300명대 신설과라서 정보가 없어...
-
수능 수학 2등급에서 1등급 올리려면..어뜨캐ㅐ.. 0
88점을 받는 부류가 딱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1등급이라 생각을 하면 안되는...
-
점심ㅇㅈ 16
남자의 소울푸드
-
레테크가 참 1
재밋ㅇ) 보인당
-
159미만여자는 180넘으면 무섭다고 안좋아함
-
이런걸 왜함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 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
딴거 올릴라다가 다들 이거 잊은거같아서 이거 먼저 감 저녁즈음에 올릴듯 약간...
-
아니죠? 저분이 붙고안갓으면 예비4번분이 합격인데 아니죠?그럴리가없어보이는데....
-
동생한테 붙잡혀서 오늘 곰캔디 8마리 더만듦,, 이럴줄알고 레몬즙 사둬서 레몬맛도 있어요
-
심심한데 할거 추천좀 16
도파민이 필요함
-
그게 앞으로 1년간 일용할 양식이라도 되는양 구는게 ㄹㅇㅋㅋ
-
이거는 도치임요? 12
So v s는 앞의 so 때문에 도치되누거 맞나요?
-
이름이 뭐에요? 6
번호 좀 줄 수 있어요?
-
개강전에당일치기다녀올거임..
-
독재 개빡치는게 1
뭔 스터디 플래너랑 공부계획 검사가 다 필수냐 하 독학이라 내가 다 알아서 하는건데...
-
5시까지 기다리기 귀찮아뇨
-
한의사 엑스레이 재판 승소해서 이제 저선량 엑스레이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좋은 소식입니다
-
근데그지라십만원밖에못넣어놧음
-
다 외우려고 하되 대충 어떤 단어인지 느낌만 남아도 되는건가요? 아니면 최대한...
-
진학사<—-이새끼 진짜 머함
-
당연히 영어일줄
-
쪽지로 남겨주시면 확인할게요!
-
테드어디로감 2
연논붙음?
-
출발햇음 3
-
가면 눈치 없는거지 ㅋㅋ.
-
삼육약 0
빠지시는 분 있나여??
-
뭐고름
-
홍익대는 어떤 공식이 가장 잘맞았는지 아시는 분 계심??
-
하지만 이미 3천만원을 잃었다는거임
-
과탐에서 사탐으로 바꿨는데 기본 개념 & 기출 이후에 어떤 n제가 제일 좋을까요??
-
삼육약 추합 6
작년에 22번까지 돌았는데 이번에 좀 더 돌까요?
-
수능은 물지라서 다른건 전혀 모르는데 생1생2 화1화2 이중에서 어떤 과목들...
-
수학 선택과목 난이도 및 공부량 대략적으로 알고계신분 있으신가요? 과외 잡으려는데...
The arrangements도 그러하다라는 것을 강조
여기서 so 품사가 뭐예요 전치사?
So는 부사입니다
lexico.com << 영어학습에 최고인데
so는 다른 품사도 있지만
저기서는 adverb(부사) 13번 뜻이네요
오오옹 감사합니다!!
고슴도치인 듯?
Hug.
So v s는 앞의 so 때문에 도치되누거 맞나요?
→ 부사 so가 '또한, 마찬가지로'라는 뜻으로 사용될 때,
so는 문두로 이동하며 그 뒤의 문장은 '의문문'이 됩니다.
그래서 so are the arrangements dynamic으로 써야 합니다.
그런데, so/neither 도치구문은 주어 뒤를 생략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당 예문에서도 so are the arrangements (dynamic)으로 쓴 겁니다.
그래서 겉으로 보기에는 so V S 처럼 보이니까 이것을 'so V S' 공식으로 가르치는 경우가 있는데, S 뒤를 생략시키지 않고 그대로 적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여 'so V S' 공식은 바르지 않습니다. (단, 이때 V가 대동사일 때는 틀린 것은 아님)
말미에도 적었지만, so[neither] V S 공식에서 V가 대동사라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어차피 이 대동사가 동사 뒤의 표현들(목적어든 보어든...)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V가 대동사가 아닐 경우, so[neither] + 의문문 구조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해당 개념을 'so[neither] + V + S'라는 공식으로만 단편적으로 알아둔다면 해석이 안 되는 경우도 있어 위험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so[neither] + V + S 표현을 보시면, 사실은 so[neither] + 의문문인데, 뭔가 겹치는 표현들을 생략하여 겉으로 보기에는 so[neither] + V + S처럼 보이는구나 하고 생각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때 생략되는(=겹치는) 표현은 보통 앞문장에 사용된 내용입니다. 왜냐하면 이 표현 자체가 '(앞문장의 내용을) 공감'할 때 사용하기 때문에, 앞문장에서 언급된 일부 표현들을 생략하여 'so[neither] + V + S'로 간단히 쓰는 것이니까요.
그래서 질문하신 문장에서도 so + V + S 뒤에 앞문장에 쓰인 표현인 dynamic(보어)이 생략된 것을 알 수 있는 겁니다.
열공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