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경탈출프로젝트 [1339488] · MS 2024 · 쪽지

2025-02-04 01:06:22
조회수 766

[칼럼] 듣기, 빈칸, 순서

게시글 주소: https://ebsi.orbi.kr/00071767991

안녕하십니까 여러분, 연경탈출프로젝트입니다. 

영어 칼럼으로 찾아뵙게 되었습니다.


시작 전 간략하게 제 소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영어 2등급을 한 번도 받은 적이 없습니다.


2411, 2506 등 고난도 시험에서도 만점을 받았으며

수능 외의 공인 시험에서 역시 고득점을 한 바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가지고 있는 영어에 대한 간단한 생각과

몇몇 유형을 풀어내는 방식에 대해 말하고자 합니다.




목차


1. 듣기에 관하여


2. 문제 사고 과정

2-1. 빈칸

2-2. 순서




1. 듣기에 관하여.


오르비 설문 결과, 대부분의 수험생이 '듣기 도중 남는 시간에 뒤쪽 문제를 푼다' 고 답하였습니다. 듣기와 뒤쪽 간단한 독해 문제들을 병행하는 사람이 대다수이므로, 이에 대해 제가 생각하는 바를 간략히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분들은 와리가리를 하셔도 됩니다.


-나는 문제를 보고 답이 안 나온다 싶으면 빠르게 넘어갈 수 있다.

-나는 가장 최근에 본 영어 모의고사 5개에서 듣기를 하나도 틀리지 않았다.



23수능 만점자 인터뷰에서 듣기 시간에 18번부터 30번까지 푼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제가 2409에서 시도한 결과 듣기 동안 18~30, 40~45를 풀었지만 결국 듣기에서 실수했습니다. 


제가 듣기를 틀린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미처 풀지 못한 문제를 머릿속에서 고민하느라

2. 듣기 사이의 텀에 문제를 해치워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듣기를 흘려들어서


결국 제가 두 문제를 틀린 이유는 보고 있던 문제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듣기 시간에 독해를 풀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로지 듣기에만 집중했을 때 1~17번을 모두 맞힐 수 있는 수준일 것.

글은 나중에 언제든지 읽을 수 있지만, 듣기는 한번만 들려준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을 것.



개인적으로는 독해에서 시간이 부족하지 않다면 굳이 풀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시간 단축에서 오는 이익보다 듣기 감점이라는 리스크가 더 크다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2. 사고 과정


간략하게 빈칸과 순서에 관해서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2-1. 빈칸


빈칸은 수능 국어 독서와 유사합니다.

근거를 찾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빈칸 문제를 접근할 때


1. 빈칸은 무시하고 글 전체를 두세 번 훑어내리면서 읽습니다.

-이때 글의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합니다.


2. 빈칸이 있는 문장을 문맥을 고려해 앞뒤 두 문장 정도와 함께 읽습니다.

-이때 어떠한 느낌의 선지를 골라야 하는지 감을 잡습니다.(2개, 간혹 3개의 정답 후보)


3. 빈칸에 대충 몇 개 넣어 읽어 봅니다.

 문맥(특히 다음 문장과)이 맞는지와 확실한 근거가 되는 문장의 존재 여부를 확인합니다.

-이때 답을 확정합니다.


예시 문제는 251131입니다.

글을 쓰고 나니 제 손글씨에 하자가 약간 있군요..텍스트로 풀어서 적도록 하겠습니다.



1. 글을 훑어내리며 내용을 대충 파악(무슨 소리 하는지)

-문학이 언어 학습에 도움을 준다

-독자가 텍스트에 매료된다

-소설의 세계로 독자를 끌어들인다


이 정도 파악하고 2단계로 넘어갑니다.



2. 빈칸이 있는 문장 부근을 읽어 줍니다. 

저는 예외 케이스를 일부러 들고 왔습니다.


앞뒤 한 문장 정도 같이 읽는다고 내용이 파악되지 않을 것 같군요.

1단계에서 유추한 내용으로 빈칸 있는 문장을 예측해 봅니다.


대충 문학은 언어 학습에 도움을 주는데,

그 방식이 독자를 세계관에 끌어들이는 방식이다~ 라는 결론을 낼 수 있습니다.



3. 빈칸 후보를 찾아내고, 근거를 찾아 답을 확정합니다.


대충 독자가 텍스트 세계관에 빠져든다는 소리이니

2번인 상상력, 혹은 5번인 몰입 정도가 후보일 것 같군요.


2번을 넣어 읽어 보니 뒤쪽에서 살짝 애매합니다.

이 어색함의 근거가 되는 문장을 찾아봅시다.


"소설의 세계에 독자가 빨려들어간다."(He or she is drawn in to the book)

이후에 나오는 "he or she feels close to certain characters~"가 근거가 되겠군요.


등장인물에게 느끼는 내적 친밀감이 상상력과 연관...없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내적 친밀감은 상상력보단 몰입에 더 가까우니 5번으로 정답을 확정합니다.




2-2. 순서


순서는 그저 끝말잇기입니다.

실전에서 바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예시 문제는 251137입니다.


37번 역시 다소 예외적인 케이스입니다.

보기를 읽고 맨 앞에 오는 문단을 확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는 공통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풀어나가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우선, 보기의 맨 끝에 'emotional contagion'이라는 키워드가 있는 것을 체크합니다.

이 키워드가 첫 문장, 혹은 둘째 문장에 오는 문단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제 눈엔 안 보이는군요..


그렇다면 A로 넘어갑시다. A에는 birds in line과 linear array가 주목할 만 하네요.


나머지 B C 모두 birds in a line이 나오니 이것을 기점으로 풀어 나가면 됩니다.


A의 birds in line were more fearful가 나오는군요.

C의 also were more nervous와 엮어 보고 싶게 생겼습니다.


A와 C를 앞뒤로 이리저리 연결해 봅니다.


C의 뒤쪽에 일자인 새들은 원을 그린 무리보다 머리를 자주 움직였다고 되어 있습니다.

A의 앞에 있는 '같은 무리의 새들이 무엇을 하는지 모르기 때문이다.'와 엮을 수 있겠군요.


그렇다면 C-A로 놓고 진행합니다. B는 어디에 들어가야 하는지 살펴보니 


B에서 Marc가 장기 조사 프로젝트를 했다고 하죠?


그렇다면 이 프로젝트에 대한 해설이 A와 C임을 예측할 수 있음과 동시에

B의 마지막 문장에 scanning, in a line이 C의 맨 첫 문장에 그대로 달라붙습니다.


C-A 순서가 맞음을 다시 확인하면서 정답은 B-C-A임을 알 수 있게 됩니다.




간단하게 행동 강령의 형태로 정리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서로 엮을 수 있는 문단이 있는지 파악한다.

2. 연결지을 수 있는 두 문단 간의 순서를 확정짓는다.

3. 나머지 한 문단의 위치를 결정한다.


보기와 이어지는 문단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경우 역시 동일합니다.

 



이상이며, 가독성 떨어지는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 등 기타 문의사항은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다음 편은 삽입과 장문독해에 대해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rare-우댕이 rare-NC 다이노스

0 XDK (+10)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