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익 강사의 오개념 해명문에 대한 반박문.
게시글 주소: https://ebsi.orbi.kr/00062496399
김종익 강사님이 쓰신글은 메가스터디 김종익 새소식 게시판에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이글은 제가 작성한게 아니며 이전글을 쓸때 도움을 주신 윤사갤에서 활동하는 에티카님이 쓰신글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수능 윤리를 가르치고 있는 에티카라고 합니다.
저는 최초에 디시인사이드 윤리와 사상 갤러리에서 김종익 강사의 수업 내용에 대한 질의를 받아 답변을 해준 사람입니다.
다만 오르비에 원문을 근거로 하여 김종익 강사의 수업에 대하여 의혹 제기를 한 글은 제가 ‘비지배의 자유는 자의적이든 비자의적이든 모든 지배가 없어야 가능하다.’라는 설명을 반박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에 대하여 약간의 조언만을 하였을 뿐 수강생분이 직접 도서를 보고 작성한 글임을 밝힙니다.
우선 이번에 김종익 강사가 새소식에 올린 설명 역시도 부적절한 설명임을 밝히면서 제 견해를 밝히고자 합니다.
김종익 강사의 주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Domination(지배)는 Arbitrary power(자의적 권력)를 의미한다.
2. 비롤리가 지지하는 법의 지배는 rule of law로 Rule과 Domination은 다른 의미이다.
3. 비지배의 자유를 위해서는 모든 형태의 domination이 없어야 한다.
이러한 설명은 학술적으로는 제기할 만한 지적입니다. 하지만 이는 “비롤리의 입장에서 비지배의 자유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비자의적 지배도 없어야 한다.”라는 김종익 강사의 해설을 정당화할 수 없으며, 수험적으로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Domination이든 Rule이든 현재의 번역서와 기출 제시문에서는 ‘지배’라는 단어로 혼용해서 사용한다.
2. 비자의적 지배가 없어야 비지배의 자유가 성립한다는 논리로 기출문제를 풀게 되면 문제를 틀리게 된다.
1.에 대하여 말하자면 domination은 지배로 rule은 통치로 번역하자는 주장은 좋은 지적 같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해석’의 문제이지 현재 주류에 해당하는 표현이 아닙니다. 따라서 번역어가 바뀌기 전까지는 domination과 rule이 구분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비자의적 지배’가 ‘비지배의 자유’를 불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뒷받침해주지 못합니다. (현재는 법의 비자의적 지배가 있어야만 시민적 자유가 가능하다는 것이 김경희, 김동규 역의 공화주의 원문 내용이기 때문에.)
1.의 문제는 2. 기출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로 이어지게 됩니다. 공화주의와 자유주의의 문제가 비교적 최신의 경향이라 기출이 많지는 않으나 21년도 수능 공화주의 문제를 보면 ‘법의 지배로 인해 공화국 시민들의 자유는 위축되는가?’라는 선지가 비롤리의 입장에서 X인 것으로 발표되었고 또 김종익 강사 역시 해당 선지의 풀이를 법의 지배는 자유를 위축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유를 위해 필요하다고 해설합니다.(여기서 해당 표현은 법의 지배이지 비자의적 지배가 아니라고 하신다면 본인이 이번 의혹에 대하여 하신 해명과 모순됩니다.)
정리하면, rule과 domination이 다르기 때문에 비자의적 지배가 비지배의 자유를 위해 필요하지 않다는 설명은 앞서 밝혔듯이 rule과 domination이 모두 ‘지배’로 번역되고 있다는 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 한다는 오류가 있습니다.(선결 문제의 오류)
수험생 여러분께서는 교과서 상에서 통치(rule)와 지배(domination)를 구분 짓는 내용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비자의적 지배는 비지배의 자유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받아들이시면 됩니다. 사족을 붙이자면 비롤리는 좋은 법은 비자의적임을 밝힌 것이지 모든 법이 비자의적이라고 말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니까 나쁜 법은 특정 세력의 이익을 위하여 만들어진 자의적 지배가 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법에 의한 지배 = 법의 지배 = 법치는 말 그대로 특정 세력이 아닌 ‘법’이 지배하는 것으로 그 자체로 비자의적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저는 솔직히 미적에 과탐까지는 뇌 용량이 딸리는거같아요 이걸 한번에 성공적으로 하는...
-
강기본 푸는데 어려움.. 5등급 뇌는 역시 멍청한가.. 견디고 계속 들어라vs그게...
-
10년생도있네 와
-
읍읍
-
진짜로 억빠/억까인줄 ㅋㅋㅋㅋㅋ
-
청소년을 위한 자본론 원숭이도 이해하는 공산당선언
-
노장학 학사 1년 반
-
일본어존나어렵네 7
하
-
수특 판매지수 보니까 이거 잘못 고르면 첫단추부터 ㅈ된다는 생각이 든다ㅋㅋ 공부를...
-
차라리 이성이 나을듯
-
컴퓨터 질문 3
용량 부족하면 디스크 usb 사서 꽂량 부족하면 디스크 usb 사서 꽂으면 끝인가요?
-
내가 약속파토내서 미안하다고 얘기하고 끝난상태였음 내생일날 뜬금 보내서 저렇게...
-
조발쳐내놔
-
작년에 화생 둘다 개못해서 4~5등급따리였는데 6모보고 진짜 안될것같아서 화학버리고...
-
신택스 해야함? 0
현역 고3 모고 보면 84정도나오는데 뭔가 구문해석을 못해서 느리게풀고 몇몇개는...
-
시데 봐야지
-
좋은 사람이 있을까?
-
✊✊✊✊✊
-
홍대의대 특-chill guy가 진료봐줌
-
오늘 아침에 보니까 놓여져 있던데 이 정체 불명의 사탕을 먹어도 될까 다른 애들도...
-
군대만 안갔어도 1
뇌가 2년은 젊었는데 ㅋ...
-
너를 지키기 위해
-
여러분들이라면 어디 가실 거 같나요..? 경희대 글컴은 외국어대학 소속 영어영문...
-
건강상하고 그러진 않겠죠. . . 몇달 먹는다고 그렇게
-
ㅈㅉ존나피곤해짐
-
저메추 18
부탁드립니다
-
학생 폐까지 지켜주는 참선생님깔즤
-
수특 문학, 독서 전문항을 혼자 다 찍으시네 ㅋㅋㅋ 수완도 사실상 확정일테고 대단하시네
-
합격인증 11
작수55444에서 반수해서 경기대합격했네요! 비록높은대학은 아니지만 재밌게...
-
ㅈㄱㄴ
-
학교마침 2
ㅠㅠ 기빨려
-
안되겠다 ㅇㅅㅇ 1
내 집앞독서실에서 필살기를 보여줘야지
-
학부모님도 너무 친절하게 대해주시고 학생도 착해서 안심했음 확실히 지인과외라 그런지...
-
연락할길이 없게 근데그럼카톡으로하겠죠
-
안가고 끝까지 버틸거임 해보자 누가 이기나 ㅅㅂㅅㅂ
-
오르비는 느낌이 5
수험생 커뮤<<<<수능에 미친 대학생들의 정모 이거같음
-
정상위 로오르고싶다
-
현역이 보고 싶구나 으흐흐흐흐
-
ㅈㄱㄴ
-
이 다섯개에 미래가 있습니다.
-
고2때 컴퓨터 본체 들어있는 서랍 안에 라노벨있었음 0
대체 어디서 난 건지는 아직도 의문임 아마 아직도 거기 고이 보관되어있을듯..
-
제발구라라고해줘
-
실력주의 학교 그런거였는데 꽤 재밌었음
-
6명 뽑고 29명 지원했습니다 저는 예비 5번 받았고 점공 7등인데 점공 6등이...
-
백합 라노벨 시리즈 한번 읽어본게 다임
-
첫 과외 하고왔어 13
처음이라서 많이 어색하고 서툴렀지만 그래도 과외학생이 잘 들어줘서 고맙고 나도...
-
이거 안 하고 걍 벅벅해도 ㄱㅊ?
-
그래그래 졸업하면 근로소득 차이 많이 큰건 아는데 어차피 둘다 근로소득 갖고는 내...
-
바티스타 수술 팀의 영광 시리즈로 몇권 더 있는데 꽤 재밌음
-
점공상 5등이였는데 실제로도 5등같음
문제 안 되는 거 같은데, 왜 물고 늘어지는지 모르겠네요 ㅋㅋㅋ
공부를 더 하시면 왜 문제가 되는지 알게 되실 거예요.
뭐가 문젠데요?
일단 비지배의 자유를 실현하는 데 자의적 지배는 물론 비자의적 지배까지 없어야 한다는 설명은, 비지배의 자유를 실현하는 데 법의 지배가 없어야 한다는 '틀린' 설명을 함축하기 때문에 문제입니다. 법의 지배는 비자의적 지배로서 비지배의 자유를 실현하는 데 오히려 기여하거든요.
모 강사는 '자의적 지배'에서의 '지배'는 'domination'이고 '비자의적 지배'에서의 '지배'는 'rule'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이건 맞는 말입니다). 그러면서 자기가 비지배의 자유를 실현하는 데 자의적 지배는 물론 비자의적 지배까지 없어야 한다고 설명했을 때는, rule이 아니라 모든 domination이 없어야 한다는 의미를 의도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지요.
이러한 해명의 문제점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학문적으로 엉터리입니다.
자, 비지배의 자유를 실현하는 데 자의적 지배는 물론 비자의적 지배까지 없어야 한다는 설명에서 지배를 모두 domination으로 바꿔 보겠습니다. 모 강사 본인이 이 설명에서 자신이 사용한 '지배'라는 단어는 'domination'을 의미한다고 주장했으니까요. 그럼 "비지배의 자유를 실현하는 데 자의적 domination은 물론 비자의적 domination까지 없어야 한다."라는 말이 됩니다. 아니, 그런데 애당초 이런 설명이 성립이나 가능합니까? 자의적 domination은 알겠는데, 비자의적 domination은 대체 뭡니까? 이런 게 가능하기나 합니까? 모 강사는 공화주의 사상가인 비롤리가 이런 게(비자의적 domination) 존재할 수는 있지만 비지배의 자유 실현을 위해 없어야 한다고 말한 문헌 증거를 가져올 책임이 있습니다.
둘째, 이 설명대로 문제를 풀면 평가원 기출문제를 틀리게 됩니다.
2021학년도 수능에서는 '법의 지배로 인해 공화국 시민들의 자유는 위축되는가?'라는 질문에 비롤리가 부정의 대답을 한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그런데 모 강사의 주장대로, 만일 어떤 학생이 '공화국 시민들의 자유를 위해 모든 domination이 없어야 하니까 법의 domination도 없어야 시민의 자유가 증진되겠네? 그럼 이건 비롤리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겠네?'라고 생각하고 이 선지를 대하면 이 문제를 틀리게 됩니다.
친절하게 설명을 해 드렸으니, 한번 찬찬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당신이요
작년 수능 윤사 1등급인데 법에 의한 지배는 필요하다 그냥 이렇게 알고 있었고 이렇게 배웠는데 왜 지금은 이게 논란이 되었는지.. 내가 잘못 알고 있는건가
윤사는 사람이 만든 지식이니까 문제가 생기지 ㅋㅋ 과탐하세요~ 이런일 없어요
맞는건 맞는거고 틀린건 틀린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