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약 27학번 [1319936]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5-02-07 03:00:11
조회수 109

잡담) 28수능에 내신 반영 변화?

게시글 주소: https://ebsi.orbi.kr/00071834595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28수능 범위가

미/기/확+ 과탐 선택 -> 고1 수과학+ 확통으로 변해서 

미적과 과학 과목를 평가하지 못하여 수시의 영향력이 증가한다는 주장이 많고 실제로 서울대도

수시 40% 수능 60%라는 ㅁㅊ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은 내신반영 기조가 그렇게 번질것 같지 않습니다.

1. 서울대/고려대 일부/부산대 의치 와 같이 내신반영을 했더니대학의 입결이 다른 학과대비 확연히 떨어졌습니다

-> 입결 상승을 위해서 내신 반영을 없애고 수능 100%로 가는 학교가 많을 것이다.

2. 면접으로 평가 가능

수시는 학교마다 다 다르고 현재의 실력을 측정 불가능 하지만

면접은 현재의 실력을 가장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3. 변별력 있음

평가원은 초등수학으로도 변별력 있는 시험을 낼 수 있는 출제기관입니다.

출제 범위가 줄어들어 문제가 더 괴랄해 지더라도 변별력 있는 출제는 가능할 것입니다.

4. 현재 일부 대학에서 사탐 공대가 가능

그것보다는 넓은 범위(통사+ 통과)로는 대학능력을 평가하기에 적합

5.  일반고에서 수능에 안나오는 미적분/기하+ 심화 과학 수업을 확실히 할지 불투명


개인적으로는 수능 100%면 좋겠고 차선책으로 정시+ 학교별 고사 반영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그 외 참고하는 좋을 사이트

시대인재 이민하 입시평가이사님의 분석(유튜브에 공개로 올라와 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08년생 정시파이터 였습니다.

많은 반박 부탁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탁극탁 · 1322566 · 4시간 전 · MS 2024

    1. 성대 중앙대 같은 학교도 있긴 하지만 대부분의 상위권 대학은 정시 입결에 그리 민감하지 않습니다
    특히 서울대는 더더욱요

    2. 대학의 생각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100% 의견만 적어놓으셔서...

    3. 대학은 수능의 변별력 여부보다는 출제범위 축소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역시 서울대는 더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 고1수학 범위만으로 출제된 1컷 76점 수능보다, 과거 B형~가형 범위에서 출제된 1컷 92점짜리 시험지가 더 대입선발고사로써 의미 있는 평가라고 보는 거죠.

    4. 우선 사탐공대 확대와 내신반영 확대 시기가 겹치기 때문에 설득력이 떨어지고,
    사탐이나 통사통과나... 공대 입학에 그게 그거 같습니다

    5. 하지만 불투명한 것이 미적분/기하/과학 심화를 100% 절대 안 다루는 수능보다는 매력적일 수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