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움직일 수 있는 두 가지
게시글 주소: https://ebsi.orbi.kr/0006908049
1.의식의 무의식화
내가 의식하는 것,즉 나의 의지에서 나오는 행동을 무의식의 영역으로 한 차원 높이는 것이다.쉽게 말해 '훈련' 내지는 '습관화'인데,이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자신과의 싸움에서의 끊임없는 승리가 필요하다.외부의 유혹에 쉽게 말려드는 감성을 이성이 잡아끌어 제어해야 한다.
어떤 도전을 할 때 의식의 무의식화는 필수적인데,예를 들면 수능 공부가 있다.보통의 머리를 가진 평범한 수험생이 수능을 잘 치기 위해서는 게임이나 만화 등으로부터 자신을 떨어뜨릴 줄 알아야 한다.그런 능력을 소유하고 있다면 오락거리를 접을 필요까지는 없다.그런 학생들에게 오락거리란 다른 학생들과는 달리 진짜 스트레스 해소용이기 때문이다.그 능력이 없다면 오락거리는 우리의 감성을 지배해 이성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게 하거나,혹은 들리는대도 무시하게끔 만든다.(후자의 경우는 더 심한 자괴감을 불러일으킨다)
이를 체화시키기 위한 정답은 없다.유혹이 다가오는 그 순간순간만 계속 참아내면 순간은 연속이 되어 자신도 모르는 사이 습관이 되어 있다.그냥 눈 딱 감고 해야한다.그런데 너무 겁은 먹지 않아도 된다.하고 나서 어떻게 해야할까...는 버려도 된다.'행동의 반복'이 습관의 본질 그 자체이기 때문에 행동만 계속 하면 그게 끝이다.그냥 그게 다다.
이게 가능한 사람들,즉 당연하지 않은 것을 당연하게 하는 사람들을 우리는 '된놈',더 강조하자면 '독한 놈'이라고도 한다.
2.무의식의 의식화
'익숙함에 속아 소중함을 잃지 말자'는 말이 있다.원래 익숙하다는 건 그만큼 소중하다는 건데,인간이란 어쩔 수 없나보다.대다수는 익숙해짐에 따라 편해지게 되고 편함은 그것의 의미를 잊게끔 유도한다.하지만 이 사실을 무의식적으로 잘 알고 이를 탐구심으로 극복하는 사람들이 있다.약간의 강박이 있는 경우와,머리에서 자동으로 '이게 왜 이럴까?'라는 생각이 드는 경우 두 가지 부류가 있는데,후자의 경우를 우리는 '미친놈',혹은 '천재'라고 부른다.우리가 아는 모든 과학은 이 '미친놈','천재'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발전해왔다.
이 능력이 없는 사람들은 어떤 존재의 겉모습에만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그 사람들의 이름은 '현대 사람'이다.미디어와 교육의 영향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없다고도 말할 수 없다.미디어는 본래 이용자로 하여금 자극에 무뎌지게 하는데 이는 미디어의 심화된 자극의 제공을 유도한다.여기에 이용자는 다시 무뎌지고...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관통의 눈동자를 길러야 한다.겉모습이 어떻든 상관없이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려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한다는 거다.'현대 사람'들은 그냥 예쁘면 좋고 잘생기면 좋댄다.생물학적 본능에 따르면 어느 정도는 맞다.하지만 '현대 사람'들은 예뻐야 좋고 잘생겨야 좋다고 한다.심지어는 성형했다고 까내리기에 급급하다.다른 외부적인 요인때문에 내면을 들여다 볼 생각은 하지도 못하는 것이다.
타성에서 벗어나야 한다.뉴턴은 사과가 떨어지는 걸 보고 만유인력을 생각해 냈다고 했다.'무의식의 의식화'가 자연스럽게 되는 천재들의 머리를 우리는 따라갈 수 없지만 '의식의 무의식화'를 동반한다면 약간의 강박으로 본질을 추구하는 마음가짐을 얻을 수 있다.혹여나 존재의 본질을 강박에 의해 추구한다는 것에 대해 꺼림칙함이 들 수 있다.그러나 그게 중요한 게 아니다.본질을 탐구한다는 게 중요한거다.당연한 것을 당연하지 않은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중요한 거다.
의식의 무의식화,무의식의 의식화
혹은 당연하지 않은 것을 당연하게 행동하고,당연한 것을 당연하지 않게 생각하는 마음가짐.
이 두 가지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세상을 움직일 수 있을 거다.
이미 많은 위인들이 그래왔듯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위 20번 문제와 같은 유형을 2018 교재에...
-
문제 및 해설 검토자를 모집합니다.일정이 조금 빡빡하므로 지금 여유있으신 분이...
-
사촌동생이 고3이네요... 제가 고3인게 엊그제 같은데 그게 벌써 4년 전이네요....
-
PNMIE 물리1 분야 입단 시험※ 물리1, 2 검토진 모집은 PNMIE 공식 시험...
-
반쪽 인증 5
반쪽이지만 최근 사진입니당\n참조출연 귀여운 무슨 콩알\n
-
인증! 14
ㅍㅁㅎ에서는 공공재...
-
인증! 16
새벽에도 작업 중...! 인증합니다
-
파이널 렉쳐, 와부 모의고사의 개정 피드백을 받습니다. 17
역학 문제집인 파이널 렉쳐와, 고난도 모의고사인 와부 모의고사를...
-
3부20번 288쪽 에서요 수직항력이 왜 B+W+T 가아니고 B+W-T 인가요?..
-
9월 1일에 2쇄 출고중이라는 메일을 받았습니다. 아마 그 이전부터 출고중이었던 것...
-
파이널렉쳐, 줄이면 파렉인데 저도 파렙이랑 헷갈리네요;;
-
07월 05일자 파이널렉쳐 정오표입니다.조금이라도 일찍 정오 사항을 알려드리기 위해...
-
물리1 Final Lecture에 관한 의견을 받습니다. 9
현재 Final Lecture 개정판을 집필중입니다.일단 현재의 목표는 역학...
-
[Wabu대표 2015 대수능 물리1 적중/유사 문항] 7
2015 대수능 2번2015 포만한 예비시행 1번(아마도) 같은 EBS 문항에서...
-
파이널 렉쳐 부교재 part2 배포 & 물리1 실모 2회 수정본 112
"파이널 렉쳐 부교재 part2 : 회로 이론과 상대성 이론"을 무료 배포합니다!...
-
현재 부교재 작업중에 있는데요, 과제폭풍과 겹치는 바람에 이틀째 거의 밤을 새다시피...
-
부교재 Part1에 해설이 없어서 고통받는 중생들이 있다고 해서 이렇게 질문받는...
-
파이널 렉쳐 부교재 part1 공지 & 직전 모의평가 사전 공지 105
1. 파이널 렉쳐의 부교재가 업로드되었습니다!먼저, Part1 : 역학 30제를...
-
현재까지 1, 4단원 역학 30문제 수록 완료했습니다. 오르비/포만한 투척 문제,...
-
오늘, 정확히는 어제 오후, 드디어 부팅이 안 되던 노트북을 고쳤습니다. 윈도우를...
-
물리1에서 아직 어렵고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어디인가요? 18
구체적으로 문제화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올려주시면 부교재에 관련 문제를 싣도록...
-
파이널 렉쳐 부교재는 투척문항들과 모의고사 탈락문항, 그리고 새로 제작한 문항들 중...
-
Final Lecture : Physics 1의 저자 Wabu대표입니다.2015...
-
Final Lecture : Physics 1의 저자 Wabu대표입니다.바로 내일,...
-
[Final Lecture : Physics 1 개정판] 13
"Final Lecture : Physics 1"의 개정판이 나왔습니다. 9월...
-
2014_09_07_Final_Lecture_정오표 8
교재 링크 : http://atom.ac/books/562/9월 7일자...
-
Final Lecture는 EBS 변형 문제집도 아니고, 해당 문제들도 모두...
-
2014_09_01_Final_Lecture_정오표 6
[Final Lecture : Physics 1]의 9월 1일자 정오표입니다. 이...
-
2014_08_31_Final_Lecture_정오표 12
Final Lecture : Physics 1 정오표입니다. 디자인이 끝나고 시간에...
-
2014_08_30_Final_Lecture_정오표 0
...거의 일단위로 올라오는 정오표인 것 같네요. 해설에 있는 일부 오타를...
-
2014_08_29_Final_Lecture_정오표 0
정오표입니다. 빠른정답에서 디자인 중에 큰 오류가 생겼습니다.꼭 정오표를...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