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오르팀] 촛불 퀴즈
게시글 주소: https://ebsi.orbi.kr/00065462525
안녕하세요.
피오르 컨설팅 팀에서 총괄 팀장을 맡고 있는 황지협이라고 합니다.
수험생 여러분들 모두 수능 치르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렇게 글을 쓰게 된 이유는 촛불 이야기와 입시이야기,
그리고 컨설팅의 활용에 대하여 말씀드리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촛불 이야기
갑자기 무슨 촛불이야기인가?
다름이 아니라, 퀴즈를 내기 위함입니다.
저번 주에 학교협동조합을 대상으로 강연을 할 때의 에피소드입니다.
당시 초등학생에게 받은 질문치고는 꽤나 재밌었던 경험이기에 가져온 이야기인데요.
자, 첫 번째 질문입니다.
겉불꽃의 온도가 높을까요? 속불꽃의 온도가 높을까요?
.
.
.
.
..
.
.
.
.
.
.
.
.
.
.
.
.
.
.
.
.
네 맞습니다. 겉불꽃의 온도가 더 높습니다. 초등학교 6학년 연소시간에 배우는 내용이죠.
자, 이번에는 두 번째 질문입니다.
푸른색의 온도가 높을까요? 붉은색의 온도가 높을까요?
.
.
.
.
..
.
.
.
.
.
..
.
.
.
.
.
.
.
.
.
.
푸른색의 온도가 높다고 분명히 과학시간에 배운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겉불꽃의 색깔은 무슨 색인가요?.
.
.
.
.
.
.
.
.
.
.
.
.
.
.
.
.
.
.
.
.
우리는 겉불꽃의 색깔이 붉은색이고 속불꽃의 색깔이 푸른색이라는 것 역시 알고 있습니다.
.
.
.
이러한 인지적 갈등은 천체물리에서 별의 온도를 측정할 때의 개념이 잘못 혼용되어 발생하게 됩니다.
한 가지 에피소드만 더 말하고 입시이야기로 넘어가보겠습니다.
작년 한 지방의 대학교에 강사로 출강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 때, 수행했던 실험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퍼온 것입니다. (당시 대학생들과 실험했던 사진을 찍어두질 않았네요..)
이는 수면 위에서 타는 촛불에 컵을 덮어씌우면, 촛불이 꺼지고 수면이 올라가는 단순한 실험입니다.
예전 초등학교 교과서에는 연소에 사용된 산소의 빈 자리만큼 물이 빨려 올라갔다는 내용이 실려있었습니다.
한편, 실제로 컵 내부의 공기 성분을 조사해보니, 여전히 산소의 비율은 크게 줄어들지 않았고,
오히려 연소하는 촛불의 주변 공기 부피의 감소로 인하여 수면이 상승한다는 사실이
2000년대에 들어와서 밝혀집니다. 그리고 해당 내용이 교과서에서 삭제되었죠.
촛불이야기를 들어보면, 우리가 당연히 그러려니 했던 것에 대한 오류가 있기도 하고, 실제로 뒤늦게 지식이 수정되기도 합니다.
이제 그러면 본격적으로 입시이야기로 한 번 들어가볼까요~
-입시 이야기
저희 팀은 컨설팅을 시작하면서, 동시에 다년간의 입시 결과가 흘러가는 모습을 봐왔습니다.
실제로 컨설팅을 받았던 학생들이 각자의 재능을 살려 취업하는 모습까지도 목도하게 됩니다.
먼저, 저의 경우 17년도부터 입시 컨설팅을 해왔습니다.
지금으로부터 기껏해봐야 6년정도의 기간입니다.
하지만 그 기간 속에서도 입시시장에서는 다양한 이슈들이 발생했습니다.
한 실례로, 지금 가장 관심이 많은 당시의 의대, 치대, 한의대의 선호도는 어느 정도였을까요?
실제 17년도 컨설팅 사례들을 보면, 연고대 공대를 갈 수 있는 성적이면 한의대나 치대를 같이 지원했습니다.
사라진 서남대학교 의예과의 경우에는 매번 의대의 꼬리를 담당하고 있었죠.(지역인재 전형을 제외하고)
수시에서도 치대나 한의대의 경우 내신 2점대의 합격자들이 다수 발생하였습니다.
의예과에서도 최저학력기준이 4합5로 높은 곳의 경우 매년 3점대의 합격자들이 나왔습니다.
지금 졸업하여 사회에 나오기 시작하는 16, 17학번의 학생들은 연고대와 치대, 한의대를 명확히 고민했습니다.
한편, 최근 2~3년간 더 이상 이러한 꼬리합격자들이 정시에서도 수시에서도 나오질 않고 있습니다.
또한 약대 수의대마저 연고대와 성적 격차를 벌려가고 있죠.
다음으로, 일반학과에서도 컴퓨터공학과가, 전(기전자), 화(생공), 기(계)를 제치고 독보적으로 올라온 것 역시 최근의 일입니다.
이공계 공대의 서열은 이전까지 전화기라는 명실상부한 이름으로 자리를 지켜왔습니다.
그러나 4차산업혁명과 같은 키워드가 휩쓸고 지나가면서, 컴퓨터공학과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및 보안, 통신과 관련된 학과들이 신설되기에 이릅니다.
그리고 이들은 지금 전화기 위에서 입결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더 멀리서 입시를 보게 된다면, 특히 학부모님들 세대는 공감하실 점이 많을 겁니다.
90년도 당시의 국립대의 위상이 대단했고, 2000년대 초반에 허준 드라마가 유행하던 시절만 해도 한의대는 의대 입결을 앞질렀습니다.
16년도 즈음에는 교대 성적이 피크일 때 입학한 학생들이 지금 초임교사로 임용되어 교권 침해 이슈를 맞이할지 몰랐을 것입니다.
나아가 취업시장으로 넘어가면, 공무원 경쟁률이 최근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는 기사를 접하실 겁니다.
반면, 로스쿨, CPA(회계사), CTA(세무사)등 전문직 경쟁률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이렇게 입시이야기 나아가 시장까지 살펴보면, 시간의 흐름 속에서 한 시점에 당연시 여겨졌던 것들이 변하기도 하고, 뒤늦게 수정되기도 합니다.
-컨설팅의 활용
여러분은 쉬지 않고 졸업을 하더라도 2028년, 군대를 다녀오는 경우, 2030년도에 사회에 나가게 됩니다.
그리고 대학이 라이센스로써 역할을 다할 때 즈음에서야 여러분은 새로운 시장에서 평가를 받게 될 것입니다.
이 글이 ‘앞으로 미래는 모르니까 소신대로 원서지원을 하시면 됩니다.’를 말하기 위함은 아닙니다.
단, 당시에 의심하지 못한, 굳건하게 믿고 있는 것들이 과연 영원할 것인가에 대하여 한번 생각해볼 여지를 줍니다.
이는 지금, 즉 현재에도 적용되는 말입니다.
물론 갑자기 통일이 되어 김일성종합대학이 한국의 최고 대학이 되고,
서울대가 지거국 취급을 받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간 서울대라는 가상의 실재가 점유해온 영향력은 쉽게 사라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의대 정원 20배 증가로 인하여 간호대가 의대 입결을 앞지르는 것도 개연성이 부족합니다.
그러나 앞으로 교육부에서 진행하는 의대 정원 증원은 분명히 연쇄적으로 최상위권 입시에 영향을 줄 것입니다.
물론, 미국의 경우에 소득 상위 10위의 직업에 여전히 의사들이 대거 점령하고 있는 사실을 보면,
향후 나라가 발전하더라도 의대 입결이 드라마틱하게 변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즉, 시간의 흐름에 다양한 요소들이 입결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여기에는 나라의 요구, 기업의 요구, 사회의 불확실성등이 있을거구요.
반면, 학생들은 교과서에 실린 논란의 여지가 없는 지식들에 대하여 학습을 해왔습니다.
수시지원을 할 때도 주변의 친구들을 확인해보시면,
당장 작년의 입시결과 나아가 2년전의 입시결과 수준에서 탐색을 멈췄을 것입니다.
그리곤 그 결과값들이 진리인 양 생각했을 것입니다.
컨설팅에서도 펑크나 폭발을 단순히 예측하고, 표본에 대하여 이해를 높여서 가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그 한편에 시간의 이격을 함께 고민하는 것도 현명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현장에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거나 ‘새로 생길 이슈’
혹은 2030년에 다른 방법으로 ‘목적지에 도착하는 방법’등 매수할 주식이
지금 저점인지, 고점인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입시에 도움이 되는 글 모음]
https://orbi.kr/00065216335 : 유인우 - [입결표] 20~23학년도 메디컬,문이과 주요대학 추정 입결표
https://orbi.kr/00065221190 : 유인우 - 24학년도 정시 주안점
https://orbi.kr/00065232324 : 군툰문 - 불수능과 표본분석
https://orbi.kr/00065277552 : Cogito - 표준점수, 누적백분위, 펑크, 폭발
https://orbi.kr/00065300256 : Cogito - 표본의 이동방향, 대체학과, 기피학과
https://orbi.kr/00065251112 : 정시기다리는 - 변환표준점수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65410392 : 종냥 - 2024학년도 메디컬계열 정시 지역인재 칼럼
https://orbi.kr/00064084053 : 종냥 - 메디컬 입시요강을 볼 때 확인할 4가지 포인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경북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경북대 25] [기숙사별 장단점부터 생활 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경북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경북대학생, 경북대...
-
유동이 없잖아 유프사에 팔로워 좀 많으면 대충 고닉으로 치는건가
-
신. 1
님들은 모두 신입니다 GOAT
-
ㅇㅈ글 보고 유추하는건가...? 아니면 대학?
-
제글제목을보면 4
수능끝난지며칠된지알수잇음
-
아는애 동덕약 3칸인데 지균의7칸이라던데..
-
하기싫은거 중에 1
막상 하면 후회하는사람 못본거같아요 개념,기출 회독 -> 왜 하나 싶은데 한...
-
특정싫어 2
특정싫어특정싫어특정싫어
-
음 그래그래 이 맛이지
-
특정이 두렵지 않다 11
ㅇㅇ
-
N수기도 하고 원서 접수한 시점부터 급하게 공부한거라 따로 인강듣는거 없었고 ㅈㄴ...
-
ㅎㅎ
-
이미당했는데 별 문제 없더라
-
다 손 이쁘다고하네
-
나는착한오르비언이라 알빠노인대
-
응애
-
시대 대치랑 강대s2둘다 붙었눈데 어디가 더 괜찮은가요? 밥이니 거리는 상관없습니다
-
하꼬고닉이라 특정할 사람이 없어서 그렇지
-
26수능을 주도할 20세기 마지막 천재의 유쾌한 여정 12
그것은 절대 거스를수 없어.
-
3모 목표 4
국어 : 기깔나게 커리어하이 수학 : 야무지게 커리어하이 영어 :...
-
예비 고3 정시러입니다 당연히 선생님들이 정시를 별로 안좋아해요 공부를 하다가도...
-
3모 목표 3
국어 98 수학 99 영어 95이상 지1 백분위 100 사문/경제 1등급 솔직히...
-
나형 출신이라 미적 다 풀어볼 수 있음
-
으음.. 얼마려나 쨋든 이제 조금ㅁ 이따 밥먹고 잘 듯
-
ㅇㄸ?
-
한 10년 잡고 공부해봐야지
-
피램주문했는데 오르비박스?같은거 와서 강제로 오르비언 입증하고 오르비언...
-
기숙사에서
-
바로 쓰러간드앗
-
혼자가 아닌 나—서영은
-
재주도 좋다 제주사람들
-
3모 목표 1
없음 그야 +1 안할 거니까...
-
잘리진않겠지 설마?
-
센츄못뗌? 5
어케함
-
이정두면 1
현역 국숭세단 -> 재수 서성한 잘한건가요?
-
잘모름
-
3모 목표 0
탐구만 성공할 듯
-
노무현 사진들 중에서 매우 흔히 보이는 사진이다. 그러나 이 사진은 합성짤이 아니고...
-
두날개떴다 2
이거지예
-
의카설 입갤 15
설의카 어쩌구
-
22년 한 의뱃이 시대재종강사를 첫수업에 공개사과하게 한 13
일을 아는사람?
-
어떻게 160이랑 180이 멀리뛰기 1컷 점수가 같음? 솔직히 키에 비례해서...
-
ㅋ
-
내년에 수시교과로 인서울 뱃지 뜯어온다
-
ㅠㅠ
-
살쪄서 하체근육만 많고 나머지는 살덩이일줄 본인이 멀리뛰기도 2.45m라 잘하기도 하고
-
믿는다
-
카이스트 원서 넣을걸 12
은테 요루시카프사랑 카뱃 진짜 잘어울릴거같은데..
-
왜 자꾸만 후회했는지 나의~
그래서 겉불꽃이 더 온도가 높은데 정작 불꽃색은 빨간색인 이유가 뭔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