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시험의 법칙]- 왜, 꼭 처음부터야?? 시험의 우선순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714878
안녕하세요
[국어시험의 법칙]의 저자 Rule 7입니다.
교재 내용의 일부이지만 여러분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칼럼 형태로 풀어 씁니다.
1) 왜 꼭 문제를 1번부터 풀어야 하는가?
2) 왜 꼭 선지를 1번부터 봐야 하는가?
3) 왜 꼭 지문의 첫 부분부터 읽어야 하는가?
왜 꼭 그래야만 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까?
굳이 출제자가 나열한 순서대로 수험생들이 따라갈 필요가 있을까요?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다음과 같은 좀 더 능동적인 방법을 진지하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첫째, 문제는 꼭 1번부터 풀려고 하지 말고 영역(화작문, 문법, 비문학, 문학)별로
가장 점수가 잘 나오고 자신있는 영역의 우선순위를 정해
자신의 순서를 재구성해 풀어 보길 바랍니다.
이는 최소한 시험 시간이 부족해서 자신있는 영역을 대충 푸는 것을 방지하며 자신 있는 영역을 빨리 풀
고 그 시간만큼 다른 영역에 시간을 더 투자하기 위합니다. 수학은 난이도를 고려하여 문제가 어느 정도
정렬되어 있지만 국어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우선순위를 정해 문제를 풀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선지의 정답 분포는 1,2 보다 3,4,5쪽에 정답의 분포가 높습니다.
이에 대한 출제자의 심리는 지난 칼럼 http://orbi.kr/0004611157 에서 확인하기 바랍니다.
칼럼의 결론은 선지를 1,2,3,4,5의 순서로 보는 것보다
3,4,5,1,2로 보는 것이 정답을 더 빨리 만날 확률이 높습니다.
이는 곧 풀이 시간 단축 그것은 다른 어려운 문제 풀이 시간 확보로 연결됩니다.
셋째, 지문도 꼭 처음부터 읽을 필요가 있을까요?
독서를 하는 것도 아니고 시험 문제를 풀기 전략적 독해입니다.
지문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문제에서
정답의 근거만 찾으면 되는 시험 문제를 위한 전략적 읽기입니다.
이번 칼럼은 셋째 내용을 테마로 했습니다.
국어 시험은 다수의 발문 유형이 있습니다.
그 많은 발문 유형별로 정답의 근거를 빨리 찾기 위해서는 지문에서
먼저 읽어야 하거나 더욱 집중해서 읽어야 하는 위치가 있습니다.
이를 약 30여가지로 세분화해 볼 수 있습니다.
본 칼럼에서 그 중에서 하나를 소개합니다.
다음 발문 모음을 잘 살펴보기 바랍니다.
각각 공통적으로 '핵심'이라는 말이 들어있습니다.
그렇다면 지문의 맨 마지막 문단을 먼저 보길 바랍니다.
정답의 직접적인 근거가 되는 내용이 거의 100%에 가깝에
맨 마지막 문단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지문과 문제를 통해 직접 눈으로 확인해 보세요
마지막 문제는 문학인데, 비문학과 비슷한 원리로 마지막 문장에 정답의 직접적인 근거가 있네요.
왜 이럴까?
지문에서 마지막 부분은 전체 내용을 정리, 요약, 당부, 결론 등
글의 핵심이 드러나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발문이 핵심, 요지 등 글에서 가장 중요한 것과 관련지어
출제된다면 글의 마지막 부분과 관련성을 갖기 때문입니다.
분량상 다 넣을 수가 없어 다른 발문 유형에 따른 지문 선택적 읽기는
기회가 되면 다음 칼럼 테마로 쓰도록 하겠습니다.
Rule'7의 결론:
수능 국어 시험을 출제자가 나열해준 순서대로 굳이
그것을 습관적으로 따라갈 필요가 있는가?
하물며 독서나 신문도 자신이 원하는 대로 선택적으로 골라서 읽는데
1분1초가 아깝고 자신의 인생이 걸린
수능 시험에서 너무 수동적으로만 시험을 보는 것은 아닌가?
이제는 전략적인 시험 문제 풀이의 방법으로 남들을 이겨낼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국어 시험에서 문제 풀이의 감각은 굉장히 중요하며 반드시 필요합니다.
부족한 문제풀이의 감각을 더해
2015년 수능에서 자신의 실력을 200% 쏟아내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추천과 덧글은 자료를 올리고
칼럼을 쓰는 제게 큰 에너지입니다.
더 좋은 자료로 또 인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국어 시험의 법칙★
지식 거래소 추천 1순위 학습 자료:
http://atom.ac/docs/439/
Rule 7의 칼럼 BOX
1. Rule 칼럼
7월 학평, 미안해 지문없이 그냥 풀었어!!!
http://orbi.kr/0004700746
[국어 시험의 법칙] 1탄: ‘일탈 선지’의 법칙 (기본편)
[국어 시험의 법칙] 2탄: ‘대립 선지’의 법칙 (기본편)
[국어 시험의 법칙] 3탄: ‘공통 선지’의 법칙 (기본편)
‘대립 선지’의 법칙 적용 사례 (보인고등학교 기말 편)
2. 희귀 칼럼
정답이 눈에 보여!!!
시험의 허점 VS 출제자의 실수
출제자의 실수 VS 출제자의 의도
다른 시험, 같은 지문!!!
3. 전략 칼럼
찍기의 과학적인 이유?!!
4,800초의 시간 컨트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제점 찾음 1
공부하는거 베이스에 쉬는게 아니라 쉬는거 베이스에 공부하는게 문제였음
-
성대 인과계 0
상황 아시는분? 640.90안되나요??
-
씨발 진짜
-
완전새삥인데통째로
-
고양이 되고싶다 1
오르비언 고양이로 환생해서 쓰담쓰담당하면서 애교부리며 그렇게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다가고싶어요
-
빨리 개강햇으면 0
심심하다거
-
더 박차고 나갈수있게 재충전하기 위해서 쉬어주는것도 공부에서 중요한건아는데 도대체...
-
떳으니깐 올리지 ㅋㅋ
-
학원갈 때 0
대학교 근처역에서 환승하면 존잘존예들 진짜 많음뇨 에휴
-
시대수학 추천 0
전사고 다니고 고닥2 학년까지는 수학 올 1이긴한데,,, 수능은 낮1? 같은 아직은...
-
성대 자전 몇점까지 돌았나요?
-
조금만 운이 좋았더라도
-
흠 2
-
인설약vs지방치 0
당장 입결순위, 수험생 선호도 그런 것 보다 평생 직업이나 페이 부분에서 약대 치대...
-
예비 1로 떨어지면 ㅈㅅ마려울거같아 어차피 못붙을거같은데 제발제발
-
걍 내가 못난걸 인정했는데도 왜 열등감은 더 심해지기만 하냐고
-
ㅈㄱㄴ 핑프 ㅈㅅ
-
남자에 비해 주변에 쌍수는 기본옵션에 코하고 보톡스 이것저것 시술 개많이하니까...
-
오늘 신청 -> 내일 가기 이게 너무 빡세요 선약이 너무 많아서
-
..
-
지리 vs 역사 0
사탐런 하려는 07인데 쌍지 또는 쌍사로 할거 같아요 이유는 그냥 머리쓰는거보다...
-
전추 되면 0
홈페이지에 업뎃 해주나요?
-
저번엔 휴학한 의대생도 봣는데 일당 9-11이니까 일주일에 두 번만 해도 70만원...
-
작수 5등급이었고 뭐라해야할까.. 개념을 개념책 보면 아~ 하는데 거의 까먹은...
-
사긴 해야하는데 흠
-
다들 평년 수준으로 내려갈대로 내려가다 못해 개박살이 나서 셔터를 내릴때가 된 거...
-
.
-
별로 안도네
-
새터갔다와서 5
컬리 7일 뛰고 학교가야지 그러면 개강 전 모은 것까지 140만원 확보 ㅅㅅ
-
난 붕신이 아님 3
붕신맨임
-
하루에 국어 투자 시간이랑 인강이랑 자습 비율 어떻게 되시나요?
-
시작하기 5분전에 앞에 나가서 "모두 주목!! 모두 앞에 보세요!! 난 이 게임을...
-
아니겠지 제발
-
20살 때 약간 아웃라인으로 잡혀있던 자연 쌍꺼풀도 2년동안 늙으면서 속쌍처럼...
-
꼭 들어야하는 필수학점? 같은건 어디서 확인해야하나요…? 반수땜에 학교 정해야하는 상황이라
-
뭔가 2
1년박고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니까 평생남을 결핍이 생긴거같음 그래서 오르비 두리번...
-
과목별로 더 잘 본 점수로 쓰는거지..
-
다군 22명 모집입니다 최초예비 17 1차 9 2차 7 3차 7 4차 4 5,6차 전추 남았어요 ㅠ
-
수능한번에 내 가치가 결정되는건 너무 잔인해
-
399도 뚫렸다고
-
예비번호 쓰라는데 예비 몇이었는지 안 나왔는데 그러면 어떻게함?
-
의대생 쉬면 뭐함뇨 10
집에서 노나요 과외나 학원 조교 같은거 하나
-
절대 안되겠죠 18명 뽑는 학과인데 1차 11명 2차 9명 3차 2명 시이바ㅏ바바바
-
시대국어컨 7
작년꺼 구해서 푸는 건 별론가요? 마땅한 N제가 아직 없는 거 같기도 하고 풀이...
-
수학 커리 질문 0
25수능 기하 2등급이긴 한데 뉴런 수강해도 문제없을까요? 뉴런들으면...
-
가군이고 자연과학임 지금 예비 n번인데 (n<=9) 냥대 한양대 추합 전추
-
기숙학원에 바디필로우 들고 가도됨?
-
건국대학생들은 자취? 기숙사? 어디서 살아야 할까?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건국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건국대학생들을 돕기...
-
기숙재수학원 네임드나 잘 알려지지 않은곳이나 상관없으니 무조건 관리 빡센곳으로 추천...
-
시대 다니고 전적대보다 안나오거나 비슷하게 나오는 애들이 드라마틱한 성적상승러보다...
마지막 문단의 문장 공감가요ㅎ
네...공감으로만 끝내지 말고 잘 활용해서 국어 성적이 올랐으면 좋겠습니다^^
넷 열심히 하겠습니다!!^^#
좋은글입니다
네..감사합니다^^
재미있는 글이네요!
탐구과목은 2011학년도 부터였나...
단원순서대로 배치하되 난이도가 쉬운문제는 앞에 가도록 배치하는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국어도 그런 배려가 있으면 좋을텐데 아쉽네요..
책 구매해서 재밌게 보고 있어요 ㅋㅋ
네..모르는 것 생기면 교재 카페 게시판에 글 남겨주면,
답변해 드릴게요^^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비문학 지문의 경우 한 지문당 2~4문제가 출제되기 떄문에 결국 모든 지문을 다 읽을 수 밖에 없지 않나요 ?
모든 지문을 다 읽더라도 지문에서 가장 중요한 마지막 부분을 먼저 읽어 보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모든 부분을 읽었는데도 정답이 보이지 않을 때
마지막 부분을 한 번더 집중해서 보면 좋고요
그리고 때로는 지문을 다 읽지도 못할 정도로 시간이 촉발할 경우도 있죠?
다른 곳보다 마지막 부분이 정답의 근거가 있을 가능성이 3배정도 높다는 것만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교보문고에서 책시키고 기다리고 있는 학생입니다!
아직 책을 읽어보진 않았지만, '국어시험의법칙'은 45문제중 평균적으로 몇문제정도 적용되고, 화작/문법/비문학/문학 중 어디에 가장 많이 적용되나요?
매년 수능에서 평균적으로 10개 이상의 문제에 적용되었습니다.
작년 수능에는 a,b형 각각 18문제 적용되었구요
(작년 수능이 대박이었습니다.)
6월 평가원과 7월 학평에서는 a,b형 각각 12문제씩 적용되었습니다.
제 교재 카페 회원이신듯한데 카페에서 각각 적용 분석 내용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비문학과 문학이 비슷한 비율로 가장 많이 적용되고 다음이 화작이고
문법은 가끔 적용됩니다.
홀수형 짝수형 상관없이 3,4,5가 많은건가요?
네..그렇습니다..제 지난칼럼 읽어보시면 왜 그런지 조금은 이해가 갈것입니다
제가 고1 때부터 고3 지금까지 국어등급이 항상 4등급에 머물러있는데 독해력 같은 건 양치기로 향상시킬 수 있어요? ㅠㅠ 3등급이라도 맞는게 소원입니다
독해력이면 비문학을 말하는 것이데 양치기로 점수를 올리기에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문제풀이의 양치기보다 제일 취약한 영역의 이론, 개념, 작품 공부에 비중을 두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