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x2 매트릭스 [수능출제예상 주제]
게시글 주소: https://ebsi.orbi.kr/00032243716
제가 독서 기출문제만 강의함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문학 40번이 퍽 재미있어서,
또한 수능에도 나올 만한 개념 같아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참고: 5월 예시문항, 6월/9월 모의평가 독서 해설강의는
전기추2에 보너스 강의로 올라옵니다.
(다) 지문에 제시된 전개방식은
'머리야 터져라' 개념5. 매트릭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매트릭스'는 있어보이려고 괜히 영어로 말한 거고,
한글로는 그냥 '표'입니다.
이러한 표는 시험에 크게 세 가지로 활용됩니다.
1)내용정리할 때, 2)의사결정할 때, 3)조건부확률을 계산할 때.
세 경우 모두 수능에 나온 적 있습니다.
하여튼 정보가 종횡으로 얽혀있으면 시험장에서 표를 그리면 됩니다.
이런 식으로요.
매트릭스에 대한 감각이 없다면,
괜히 1차적으로 A, ~A로 나누고,
각각에 대해 2차적으로 B, ~B로 나누기 쉽습니다.
기출분석을 한 학생들을 복기해보세요.
만약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 LFIA 키트 지문 독해시
진양성, 위양성, 진음성, 위음성을 아래와 같이 나눴다면,
비효율적으로 정보를 분류한 것입니다.
그냥 표로 그리면 돼요.
하여튼, 선지 ②를 봐도
지문이 2x2 매트릭스(2행 2열 표)와 관련됨을 알 수 있습니다.
정답이 쉽고, 지문이 어렵지 않았지만,
2x2 매트릭스는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고,
출제됐을 때 수능이든, PSAT이든, LEET든
고난도로 나온 경우가 많았으니
연습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머리야 터져라' 5강(약 40분)만 잘 들어두면
수능은 물론이고, PSAT, LEET까지 전부 대비할 수 있으니,
하루 날을 잡아서 24시간 프리패스로
'머리야 터져라' 전체를 정주행해보길 권합니다.
시간 남으면 전기추2에서 찜찜했던 기출지문 해설강의를 들어도 되고요.
24시간 프리패스 구매
https://class.orbi.kr/teacher/177/course
하여튼, 지금 광고가 중요한 게 아니라...
40번 문제에서 '분모'가 무엇일까에 대한 질문이 중요합니다.
(다) 2문단에 제시된 ‘백에 n’이라는 표현은 n%를 뜻하는 것 같긴 한데,
도대체 '백'에 대응하는 분모는 무엇을 가리킬까요?
고민해보면 좀 이상할 겁니다.
항목들을 더한다고 100%가 나오는 것 같지도 않고...
③ ‘산림’에 사는 사람들 중에는 ‘즐거움’을 누리는 경우보다 ‘부끄러움’을 가진 경우가 더 많다.
이는 선지 ③을 판단하기 위해
꼭 짚어봐야 하는 것이기도 한데,
단순히 50%가 3~4%보다 크기 때문에
적절하다고 넘어가는 것 같아요.
뭔가 좀 찜찜했던 학생들 있죠?
분모에 대한 언급이 없어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자칫 아래와 같이 주장할 수 있는데...
--
1. ‘작은 부끄러움을 안고 사는 자는 백에 백’이라는 표현으로부터, 분모가 모든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시정에 살면서 명리에 마음을 두는 사람들로 한정됨을 알 수 있습니다.
2. “그런데 큰 부끄러움을 안고 사는 자는 백(百)에 반이요”라는 표현으로부터, ‘큰 부끄러움’(=산림에 살면서 명리에 마음을 두는 것)과 이(=큰 부끄러움)를 ‘안고 사는 자’가 개념적으로 구별됨을 알 수 있습니다.
3.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산림’에 사는 사람들이 총 1,000명이고, 그중 명리에 마음을 두는 사람이 10명, 은거에 마음을 두는 사람이 990명인 상황을 생각해보겠습니다. 이때 ‘큰 부끄러움’을 가진 사람은 5명(10명의 50%)인데 반해, ‘큰 즐거움’을 누리는 사람은 27~40명(990명의 3~4%) 가량입니다. 즉, 이 경우에 ‘산림’에 사는 사람들 중에는 ‘즐거움’을 누리는 경우(적어도 27명)보다 ‘부끄러움’(5명)을 가진 경우가 더 적습니다. 따라서 ③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
왜 이 의견이 이상한지 고민해보세요.
물론 지문에 분모가 뭔지
명쾌하게 표현되어 있지 않긴 하지만,
머리를 굴려보면
정합적인 해석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
(다)
산림(山林)에 살면서 명리(名利)에 마음을 두는 것은 큰 부끄러움[大恥]이다. 시정(市井)에 살면서 명리에 마음을 두는 것은 작은 부끄러움[小恥]이다. 산림에 살면서 은거(隱居)에 마음을 두는 것은 큰 즐거움[大樂]이다. 시정에 살면서 은거에 마음을 두는 것은 작은 즐거움[小樂]이다.
작은 즐거움이든 큰 즐거움이든 나에게는 그것이 다 즐거움이며, 작은 부끄러움이든 큰 부끄러움이든 나에게는 그것이 다 부끄러움이다. 그런데 큰 부끄러움을 안고 사는 자는 백(百)에 반이요, 작은 부끄러움을 안고 사는 자는 백에 백이며, 큰 즐거움을 누리는 자는 백에 서넛쯤 되고, 작은 즐거움을 누리는 자는 백에 하나 있거나 아주 없거나 하니, 참으로 가장 높은 것은 작은 즐거움을 누리는 자이다.
나는 시정에 살면서 은거에 마음을 두는 자이니, 그렇다면 이 작은 즐거움을 가장 높은 것으로 말한 나의 이 말은 대부분의 사람들의 생각과는 거리가 먼, 물정 모르는 소리일지도 모른다.
- 이덕무, 「우언(迂言)」-
(다)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부끄러움’과 ‘즐거움’을 조화시킴으로써 더 나은 삶의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정답)
② ‘나’는 어디에 사느냐와 어디에 마음을 두느냐를 고려하여 삶의 유형을 나누고 있다.
③ ‘산림’에 사는 사람들 중에는 ‘즐거움’을 누리는 경우보다 ‘부끄러움’을 가진 경우가 더 많다.
④ ‘큰 부끄러움’과 ‘작은 즐거움’은 어디에 사느냐와 어디에 마음을 두느냐가 모두 서로 다르다.
⑤ ‘명리’를 ‘부끄러움’에, ‘은거’를 ‘즐거움’에 대응시킨 것으로 보아 ‘나’는 ‘은거’의 가치를 ‘명리’의 가치보다 높이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더 읽을 만한 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우흥... 0
우우우흥....우흥우흥..우흐흐흥...
-
작년의 기억 0
오랜만에 글쓰는데 좋아요 '줘' (당일) - 지금쯤 낮잠을 잔다. 그럼 5시에 깐다...
-
수는 안어울리네 0
흠..
-
구라안치고 나이 하나 더 먹을 때마다 아이큐 10씩 내려가는듯
-
머리 어쩌구 기억 저쩌구
-
이거도냐 1
62명뽑 620지원 이거도나 진학사때보다 등수 올랐나
-
여기서 몫의미분법을 때려보는것을 보고 저는...그만 정신을 잃어버렸습니다
-
방송사 안거르고 교차검증하는 성격인데 얘넨좀 심한듯.. 걸러야겠다 이제
-
사문 왜 은근 어렵냐? 걍 결이 다르네
-
본인 판단 하에 의대보다 치한약수가 낫다는 판단 들면 올해 옮기기 쉬웠을 텐데 왜 안 가신 거죠?
-
사탐 무시하다가 2
지거국지능으로는 수능때훅간다
-
ㅋㅋ 난 류제홍이 아니었음
-
만남 잇으면 2
헤어짐도 잇는법
-
불꽃가능
-
5번 풀틀 10번 실수틀 13번 찍틀 기억안나 15찍맞 17풀틀 18찍맞 20풀틀...
-
야동보러간다 10
대 대 대의 섹시한 문제풀이
-
레몬 하나에는 레몬하아만큼의 비타민C가 들어잇다네요 엄청나죠 우리모두레몬을먹도록해요
-
반드시 좋은 학점을 만들것 수능 망해도 좋은
-
6학점만 듣고 휴학했었는데 엇학기 복학 해야할거 같은데 0
걍 이번에도 학점 적게 듣고 수능 다시 준비해야겠음 목표 낮춰서 수능 끝나고 돈...
-
교사와 육사 2
문과인데 교대와 육군사관학교중 어느쪽이 나을까요?
-
범위: 문과 서성한~건동홍 쪽지주시면 옾챗 링크 드릴게요
-
얘네라면 ㄹㅇ 가능할 거 같음 서울대는 합니다
-
진짜 궁금함!!!
-
ㅇㅈ 11
ai의 힘은 위대하다 으ㅡ흐흐
-
시간표짯오 3
우웅
-
내일인줄 알고 자다가 이제야 확인했네 오
-
그대여 4
아무 걱중하지말아요 우리함께 노래합시다 그재아판기억즐묨즈 구대여 그댕가슨ㅁ에 흘훌컬어 버리고
-
강대를 가는 나..
-
이재명 “美점령군 맞다”…윤석열 “셀프 역사 왜곡” 3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미 점령군” 발언에 대한 정치권의 비판에 4일 윤석열 전...
-
수험번호 가려야하나여?
-
공부 해야되나 0
정정당당하게 평소 실력으로 볼까
-
저는 교과로 대학 가서 잘 모르는데 백분위 국어 96 수학 85 영어1 생윤 98...
-
김현우쌤 0
1주차부터 들었는데 앞부분을 너무 밀도있게 복습을 안한거 같아서 스탠도 좀...
-
왜!!!!!!!!!냐!!!!!!!!면!!!!!!!!...
-
좀 살아남
-
머리 옷 배경 다 고정에 얼굴만 갈아치우기잖아 ㅋㅋ
-
진짜 다 합해서 12000원
-
글이랑 댓글 어록들이 왜 내용이랑 스탠스가 일관되게 읍읍
-
안좋은의미로쓰인다는데
-
이젠 당신이 14
그립지않죠 뷰고싶은마음도없ㅈㅅ 사랑한것도 잊혀가네요 조용하게 ㅅ알수없능ㄴ건...
-
ㅇㅇ? ㅈㄴ 궁금
-
아
-
외할머니가 한양대인줄 알고 좋아하시길래 엄마한테 물어봤더니 한양여대네... 할머니..
-
ㅅㅂ 자리 배정이 한자리도 안남고 다 이미 배정돼있어서 ㄹㅇ 오늘 무슨 길바닥에서...
-
전라도에서 42퍼가 어케 나오지 계몽령인건 알겠는데 이렇게까지 계몽된게 맞다면 민주당 문 닫아야됨
-
그댄 아사나요 3
잇잖어요 지금 그대가 너무 그리워요 고개 숙여 눈물 훔쳐요 당신의 이름을 불러요...
-
오늘 내주면 좋겠다 5시에하루정돈 당길 수 있잖아.?
-
수능실패하면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는 꼭 보셈 1
수능 실패해도 그거보고나면 또다른 우주에선 성공한 내가 살고 있다고 정신승리 가능함
-
설사범 볼 때마다 놀라 16
설 사범 설사 범 나만 그런거 아니잖아
좋은 글 잘 봤습니다.
표로 정리해두면 정보 정리가 편하겠네요.
참, 질문이 있어요!
LFIA 키트 지문에서
/ \
양 음
같은 모양으로 나누는 게 비효율적인 이유가
뭔가요?
왜 표가 더 효율적인지, 머리야터져라 해당 설명 부분을 주말 중 유튜브에 올려놓겠습니다 :)
헉 정말 감사합니다!
일단 윗글은 아래 영상을 바탕으로 했습니다.
https://youtu.be/6C2kmirRZk8
아래 영상 1, 2강을 보신 후, 해당 기출지문에서 민감도, 특이도를 계산해보세요. :)
https://class.orbi.kr/course/1859
오.. 선생님 이번 사문 5번문항도 논리적으로 해설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선생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궁금한가요?
ㄱ 선지에서 가설 검증을 하기 위해, 표의 어떤 부분으로 비교를 해야하는지 여쭤보고싶습니다 :)
제시된 자료를 통해 ㄱ을 참으로 입증할 수는 없습니다.
아래 제가 해설해둔 문항을 참고해서 고민해보세요. :)
[LEET 기출문제 해설] 2010학년도 추리논증 23번 #원인발견법
https://djsdjshsfl.blog.me/221393162441
"산림에 사는 사람들"이라는 조건때문에 즐거움을 느끼는 사람="큰"즐거움을 느끼는 사람, 부끄러움을 느끼는 사람="큰"부끄러움을 느끼는 사람이니깐 부끄러움들끼리, 즐거움들끼리 더할 필요 없이 그냥 큰 즐더움, 큰 부끄러움끼리만 비교했는데 이게 맞나요?
아래와 같은 의견에 대해 고민해보세요. :)
--
1. ‘작은 부끄러움을 안고 사는 자는 백에 백’이라는 표현으로부터, 분모가 모든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시정에 살면서 명리에 마음을 두는 사람들로 한정됨을 알 수 있습니다.
2. “그런데 큰 부끄러움을 안고 사는 자는 백(百)에 반이요”라는 표현으로부터, ‘큰 부끄러움’(=산림에 살면서 명리에 마음을 두는 것)과 이(=큰 부끄러움)를 ‘안고 사는 자’가 개념적으로 구별됨을 알 수 있습니다.
3.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산림’에 사는 사람들이 총 1,000명이고, 그중 명리에 마음을 두는 사람이 10명, 은거에 마음을 두는 사람이 990명인 상황을 생각해보겠습니다. 이때 ‘큰 부끄러움’을 가진 사람은 5명(10명의 50%)인데 반해, ‘큰 즐거움’을 누리는 사람은 27~40명(990명의 3~4%) 가량입니다. 즉, 이 경우에 ‘산림’에 사는 사람들 중에는 ‘즐거움’을 누리는 경우(적어도 27명)보다 ‘부끄러움’(5명)을 가진 경우가 더 적습니다. 따라서 ③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중분할표네요
네, 그렇게도 부를 수 있고요. PSAT, LEET에는 종종 3x3 매트릭스가 나오기도 합니다.
저 해황님 전기추2에서 6모9모는 안다뤄주시나요?!
올해 6모, 9모는 모두 올라오고,
이전 기출은 선별적으로 수능까지 계속 올라올 예정입니다.
필자가 큰 부끄러움, 작은 부끄러움을 가리지 않는다 했고, 부끄러움이라는 개념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구체화 했으니 큰 부끄러움을 가진 자는 자연스럽게 작은 부끄러움도 가질 수 있지만, 작은 부끄러움을 가진 자는 큰 부끄러움을 가질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비슷하게 즐거움은 누리는 것이라 표현했으니, 작은 즐거움을 누릴 수 있는 사람은 큰 즐거움도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고, 부끄러움을 느끼면서 즐거움도 느낀다는 게 퍽 어색하지 않으니 두 구분을 독립적으로 해석하면 그 사이에 교집합이 있는 것도 어색하지 않구요. 그냥 저는 실전에서 이렇게 생각했었습니다
생각을 좀 더 해보니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디에 마음을 두었느냐'로 기준을 세운다면 선생님이 던져주신 문제는 해결되네요
오 유대종쌤 프리미엄에도 이런거 나오는데!!
그렇군요. ㅎㅎ 하여튼 머리야 터져라는 제 작년 데뷔 강의이기도 하니, 1등급이 나온다면 꼭 들어보길 추천해요!
열공해줘서 고마워요. 수능에서 최고점 받을 거예요!!
선생님 제가 이해한 것 적어볼께요
1. 생각 정리
큰 부끄러움을 안고 사는 자는 백에 반 : 저는 이것에 산림에 사는 사람을 100이라고 보았을 때 50%가 큰 부끄러움을 안고 산다고 생각했습니다.
작은 부끄러움을 안고 사는 자 백에 백 : 시정에 사는 사람들은 백에 백이면 다 작은 부끄러움 즉, 명리에 마음을 두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큰 즐거움을 누리는 자는 백에 서넛 : 산림에 사는 사람 100 중 3~4명이 큰 즐거움, 즉 은거에 마음을 두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작은 즐거움을 누리는 자는 백에 하나 정도 : 시정에 사는 사람 중 백에 하나 정도만이 은거에 마음을 두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2. 그래서 선생님께서 예를 드시면서 산림에 사는 사람 1000명 중 명리에 마음을 두는 사람을 10명...이렇게 나누신 것 자체가 이상하다고 생각했는데요???
(왜냐하면 지은이가 산림에 사는 사람 중에 명리에 마음을 두는 자는 50%다..라고 말한다고 생각했거든요)
혹시 제 생각이 뭐가 잘못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