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 고정 3등급이하의 가장 주된 특징
게시글 주소: https://ebsi.orbi.kr/00030656832
사실 이 글은 오르비에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수만휘에 올린 글이고,
정말 수학 못하는 (문과 고정 3등급이하) 친구들에게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만약 이런 친구들을 가르치고 있는 과외 선생이라면 정독하셔도 좋습니다.
수업 영업 비밀 하나 풀어놓습니다.
길게 쓰지 않겠습니다. 길게 쓰면 너무 오래걸려서요..
문과 고정3등급이하와 2등급이상의 가장 주된 차이는
문제 읽는 과정입니다.
아닌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그렇습니다.
만약 본인이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3등급이하라면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될거고
여기에 해당하는 3등급이라면 이 습관 못고치면 수능 여러번 쳐도 계속 3등급일겁니다.
문과 고정 3등급이하와 고정 2등급, 문제를 누가 더 빨리 읽을까요?
답은 아이러니하게도 문과 고정 3등급이하입니다.
(거의 가형 고정 1등급컷(=나형 고정 96~100점)이랑 읽는 속도 비슷합니다.)
문과 고정 3등급이하와 고정 2등급, 누가 더 이해력이 좋을까요?
답은 당연히 문과 고정 2등급입니다.
잘 추론해보시기 바랍니다. 웬만하면 친절하게 설명하지만,
3등급이하는 평소에 비판적 독해, 사고 독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위에 제가 제시한 두 정보를 토대로 생각해보세요.
위 현상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보고나서 아래로 내려가시기 바랍니다.
문제 발문을 읽을 때, 3등급 이하와 2등급이상이 사고하는 방향이 아예 다릅니다.
2등급 이상은 문제 자체를 독해해서 푸는 반면
3등급이하는 문제 생김새 자체를 보고 머릿속에 본인이 푼 비슷한 유형을 가져옵니다.
즉, 글(문제)이 가리키는 내용을 이해하는 게 아니라, 그냥 글자 생김새를 보고 풀이를 떠올립니다.
달을 가리키면 달을 봐야하는데, 달이 아니라 손가락을 보는 겁니다.
어떤 문제에선 달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어떤 문제에선 깃발로 달을 가리킵니다.
2등급은 둘 다 달을 가리키는 문제구나,라고 접근하지만
3등급은 하나는 손가락이고 하나는 깃발이네로 접근합니다.
솔직히 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정말 큰 영업 꿀팁 풀었습니다.
본인이 과외 선생이고 학생이 3등급이하인데
학생이 너어무 멍청해서 답답하다면
학생이 문제를 처음보고 문제를 읽을 때 어떤 식으로 생각해나가는지 살펴보세요.
아마 깜짝놀랄겁니다.
이 글을 읽는 사람이 3등급이하 수험생이라면
본인이 풀 수 있는 문제에 대해, 그 문제의 발문을 전부 이해하고 푸는건지 생각해보십시오.
하나 퀴즈드리겠습니다.
비문학 읽는게 더 빠를까요? 수학 문제 읽는게 더 빠를까요?
3등급이하는 수학문제를 더 빨리 읽고
2등급이상은 비문학을 더 빨리 읽습니다.
비문학에 비해, 수학문제를 훨씬 더 비판적 독해, 사고 독해해야 된다는 소리입니다.
어떻게 할 지 잘 모르겠다는 3등급이하도 있을 거에요.
본인을 탓하세요.
2등급이상은 초등학교부터 그렇게 쭉 공부해온거고,
3등급이하는 대부분 중학교부터, 혹은 고등학교 1학년부터 이상하게 공부한 경우가 많습니다.
당연히 익숙하지 않고 어떻게 할 지 감이 안 잡힙니다.
첫째, 본인이 문제 읽는 방법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세요.
둘째, 본인이 풀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정말 발문을 다 이해하고 푼건지 하나하나 뜯어보세요.
셋째, 본인이 아깝게 못 푼 문제, 혹은 답지보면 이해가는 문제에 대해
발문 읽는 과정을 살펴보세요.
본인이 못 푼 문제라면, 일반적으로 다음 중 하나일겁니다.
1. 발문에서 이해 안 가는 게 있었음. 혹은 이해를 너무 얕게 한 게 있었음
2. 발문을 보고 특정 개념/풀이를 못 떠올린게 있었음
3. 기타
3은 극상위권에게나 일어날 정도로 난이도 있는 문제에서 나타나는 현상이고요
문과 1등급까지는 대부분 1-2에서 다 걸립니다.
만약 1이라면 다시 차근차근 읽으면서 이해하시고요. 그래도 이해 안 간다면 왜 이해안 가는지 차근차근 생각해보세요.
만약 2라면 이제 여러분이 좋아하는 오답을 진행하면 됩니다.
오답을 할 때에는 단순히 답지 풀이 보고 이해하고 넘어가는 게 아니라, 그 풀이를 떠올릴 때 단서가 되는 그 조건이 뭐였는지를 찾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조건을 문제에서 처음 봤을 때 어떻게 접근했어야하는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어렵나요?
네, 아마 2등급 이상은 제가 말하는 게 무슨 의미인지 알거고 좋은 팁도 많다고 느꼈을거고
3등급이하는 너무 과한거 아닌가?하고 생각할 겁니다.
당연합니다. 3등급이하는 발문을 해석하는 연습을 제대로 해본 적이 없거든요..
따라서 본인이 3등급이하라면
일단 발문 읽는거부터 신경씁시다.
이게 바로 문과 2등급과 3등급사이에 커다란 벽이 있는 가장 주된 이유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제대 컴공 0
컴공 예비 4번이면 붙을까요.......
-
오를 수 없는 목표는 포기함 고등학교 올라오고 나서는 늘 그래왔음
-
예전엔 뭐 특슬람이니 정신이 나갔니 했는데 이당시에도 ai가 중요하다는건 뭐 그렇게...
-
네
-
수학 그 때처럼 공통 불로 내주면 안되나 이제는 집단의 평균 차이가 너무 커져서...
-
그나마 아는 사람들도 이세상 사람들이 아님
-
여붕이가 여성성을 드러내면 오뿌이 물소가 달려들어 여붕이를 여왕벌화함.. 여왕벌...
-
ㅁㅌㅊ
-
사설도 많긴 한데 돈쓰기 아깝거나 사설 풀기 싫은 사람들한텐 둘다 좋을듯? 문제가...
-
제 후배 잇나요 4
ㅇ?
-
ㄹㅇ 왼쪽 캐릭터 처럼 됨
-
저 오늘 졸업합니다 10
저도 드디어 고졸이 되네요
-
붉어진 두 눈으로 13
나를 보며 넌 물었지 사랑의 다른 이름은 아픔이라는 것을 알고 있느냐고 며칠 사이 야윈 널 달래고~
-
얘 진지하게 귀엽지않냐 13
내여자친구였으면좋겠어….
-
국정원 지하실은 0
수리남에 있음
-
국정원 지하실 4
국정원 지하실 ㄹㅇ 귱금해지네.. 막 북한 간첩들.. 이런 사람들 고문 받고있으려나
-
국어 공부법 0
마더텅 풀어보니까 비문학은 정답률 좀 낮아도 괜찮은데 문학은 정답률 65% 아래로...
-
얼버잠 10
얼리버드는 자러갑니다 쿨쿨 오늘은 제발 재미있는꿈 가즈아
-
일찍일어나야하지만 아직도안자고잇어 이런게길티플래져일까?
-
진짜 순애 아닐까
-
뭐지 전기장판 2
뜨거워서 봤더니 5로되어있었음 뭐지 난 1~2로 해놓고 자는데 어떻게...
-
그래 0
개념/스킬 교재는 그래도 정품으로 사고 나머지 모의고사는 걍 다운받던가 해야겠다
-
그냥 어느정도 여유롭게 산다는건가
-
ㄹㅇ로 개.좆.됐.다
-
이쁘면 함
-
선착1명 8
은어그로구요 amg레어사가면오만덕페이백
-
저 강평프사;; 5
저 분 누군데요 예쁨?? ㅇ왤케 다 저 사람 얘기임
-
반수생인데 작년 현역때 주키 풀세트 사놓고 한번도 안푼게 있어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바로 팔로우 늘어나네 물론 나도 함
-
너무번거로워서 만들어달라하면 등짝 맞음 ㅠ
-
머리아플때 있음? 가끔 원인모를 두통이 생김
-
지렁이가되고싶어 2
흙을 먹는 착한친구 조금 징그럽지만 눈에 띄지만 않으면 귀여워
-
한지 세지 0
현역 때 정법 사문 응시했는데 이번에 사문은 그대로 가져가고 정법대신 한지나 세지를...
-
엄마 아빠한테 교재 더 사달라고 부탁드리고는 싶지만 교재비가 워낙 비싸서 그래도...
-
지금 Ap7 하고 있는 현역이인데요,, 2월달안에 16+4랑 ap7 복습까지 끝낼...
-
혹시 올해 정시 쓰신분 계실까요?(치킨 사례하겠습니다) 2
진학사 쓰신 분들 중 미적/기하 + 과탐 조합이신 분을 구합니다 ㅜㅜ 쪽지로...
-
쩔었다 5
-
졸림뇨 3
40분되면자러감
-
작수 통통92점인데 공부 다시 시작한지 얼마안됨.. ㅈㄴ 휘발된거같은데 기출부터...
-
잠이들락말락
-
누가 댓글로 저러고 100프로 튄다햇는데 ㄹㅇ이였네 하시발 형이 1시간준비해서...
-
생기부 주제 추천해달라는데 솔직히 좀 이해가안됨 거기서 좋은 주제를 추천해 주는...
-
컨텐츠 관리자님이 개무서움 ㅋㅋ
-
인데 공부 0시간했음 어카지
-
에휴다노
-
이제 진짜감
-
아직도 수학 개념 공부법을 모르겠어요… 개념 공부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말도 다...
-
저 역시 그 일원입니다
-
시대재종 2
수학 못봤는데 재종 붙었음 무조건 제일 낮반일거같은데 낮반이여도 라인업 ㄱㅊ을 수...
요약 : 2등급 이상은 해석하지만 3등급 밑은 그저 떠올리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