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수능 언어 예술지문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ebsi.orbi.kr/0002884920
12수능 언어 예술지문에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합니다. 언어고수느님들 성실한 답변 구걸합니다 ㅜ
기악음악이 정서론과 음형론을 통해서 일정한 의미를 가져야 하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잖아요
근데 2,3문단에 단순히 정서론과 음형론 설명만 있고 기악에 적용이 안되어있고요
그래서 그 4문단에 봤더니 뭐 정서론을 음악구조에 적용 한다 이부분은 음조를 정서와 연결하여 정서를 나타냄으로
문제를 해결하는거 같은데요 음형론이 기악음악에 적용되어 문제를 해결한 부분은 잘 모르겠네요
'또한' 이 있으니 '또한'뒷부분은 정서론쪽이므로 '또한' 앞부분은 음형론이 기악음악에 적용된거 같은데
왜 그런지 모르것네요 수사학 이론을 끌여들여 음언어 설명한게 왜 음형론 쪽 부분인지... 모르겠네요
혹시 제가 잘못 짚은거라면 각각의 이론이 기악음악에 적용되어 문제를 해결하는 부분이 어디인지 알려주세요
진짜 암만 봐도 모르겠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도고속쓰고싶다 1
워드가업서 난거지야
-
내가 가야함
-
A4 정도로 보면 엄청 잘 들어오는데 시험지처럼 크기가 커지면 눈에 안들어오는데 뭐가 문제임?
-
코인 뭐고 씨발 1
좆됐네
-
수상할 정도로 음음
-
실시간 2
학교에서 오르비 맞팔구함
-
차라리 정시 논술을 부활시키는 것도 방법이었을텐데, 왜 하필 내신인지, 학교가...
-
아무런소식이 없네 ㅠ
-
얼버잠 성과 13
12시 취침은 실패햇지만 1시 좀넘어서 잠 최근에 계속 비실대다가 이제야 좀 살겠네요
-
글쓴 한의사 쪽이 의사들을 먼저 긁지도 않았는데 바로 조롱 박아버리는 의뱃들은 대체 뭐지
-
한지 세지 0
안녕하세요 생지 하다가 생명애 벽을 느껴 사탐런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사탐 노베인데...
-
사탐런 3
과탐 사탐 다 노베이고 중경외시 이상 수학과 쓸려는데 2사탐이 맞을까요? 일단...
-
한의대 제하고 의치약수 목표면 원과목이 정배 아닌가요? 잘 모르겠습니다
-
없다
-
그냥 다 맞으면 되잖아 마인드 장착이기때문에 설득 불가다 더이상물러날곳이없거든생명만몇년을했는데
-
전담으로 갈아탐 2
연초보단 낫잖아 하 본과 전에 끊는다
-
제가 12월 달부터해서 1월 초까지 게으르게 살다가 정신 차리고 공부 시작했는데...
-
기출무용론떡밥 국어수능의리트화떡밥 재능노력떡밥 의vs한대전 왜 요즘 이런거 안돎...
-
오르비 화이팅 1
-
얼버기 0
비트 이 새끼는 걍 지 좃대로 움직이네 하........
-
너무 배고팟음
-
간쓸개 시즌 1 1
시즌 1 풀만한가요? 강기분 러셀에서 들으면서 사놓은거 풀어봤는데 좀 별로기도 하고...
-
좆됏다!!
-
이대로면 생지도 10만뚫릴거임 이제 생지도 원장연 맞으니까 사탐하던지 아니면 투...
-
얼버기 0
와서 1시간 잤네
-
수학 인강 강사 중에 풀이랑 발상 많이 던져주는 강사 추천 좀요 약간 정병훈쌤처럼요
-
인강민철은 2권 시작하면서부터 거의 다 맞고 읽는 방법도 뭔가 강기분에서 배운대로...
-
여전히 10만명은 넘어갈려나요
-
서강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서강대 25][자취방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서강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서강대생, 서대...
-
말그대로 생감 책 안올라왔나요?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제이팝 추천 좀 6
ㅇㅇ
-
반수 실패하면 4
군수 조지고 얘도 실패하면 3년 울면서 보내면 됨? 지금 과목 몇 개 안 들으려니까 미래가 두려운데
-
내신은 빼박 cc고요 언매 기하 사문 생윤 응시합니다! 각 과목별로 몇 개 틀려야...
-
안간 학교도 뱃지 받을수 있다며 현역때 논술 3개붙었는데
-
기차지나간당 3
부지런행
-
현역때 임정환 들었음 머가 젤 나음?? 1. 학원 2. 사설 자료 뺑뺑이 3. 개념...
-
면허학원가는중 1
ㅜㅜㅜ
-
망한 월요일 1
8시까지 학원에 도착해야해서 35분쯤에는 그래도 집에서 나와야하는데 7시 15분쯤에...
-
진지하게 롯데리아 맛으로 못깐다는 말이 있는데 트루팩트임? 썸타던 여자애 면전에서...
-
훈수좀요 1
고민중인데요 작년에 개때잡했었는데 이번에 공통수학은 시발점 강의 대신작년개때잡...
-
적어도 몇분 안엔 끝낸다 이런거
-
ㅎㅇㅌ!
-
여캐일러 투척 2
수능 정복 15일차
-
학교 간다 0
-
키가 안닿아서 열쇠 못꽃고 문 못열뻔함...ㅋㅋㅋㅋㅋㅋ
? 기악에 적용이 되어 있는데요.'음형론'은 저는 '음의 형태' 내지 '형식'으로 이해했어요. 음형론은 특정 정서를 느낄 수 있는 화성이나 음률을 사용하는 것을 말해요.
[제시문]
(가) 서양 음악에서 기악은 르네상스 말기에 탄생하였지만 바로크 시대에 이르면 악기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장르를 형성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게 된다. 하지만 가사가 있는 성악에 익숙해져 있던 사람들에게 기악은 내용 없는 공허한 울림에 지나지 않았다. 이러한 비난을 면하기 위해 기악은 일정한 의미를 가져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나) 바로크 시대의 음악가들은 이러한 과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정서론’과 ‘음형론’에서 찾으려 했다. 이 두 이론은 본래 성악 음악을 배경으로 태동하였으나 점차 기악 음악에도 적용되었다. 정서론에서는 웅변가가 청중의 마음을 움직이듯 음악가도 청자들의 정서를 움직여야 한다고 본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한 곡에 하나의 정서만이 지배적이어야 한다. 그것은 연설에서 한 가지 논지가 일관되게 견지되어야 설득력이 있는 것과 같은 이유에서였다.
(다) 한편 음형론에서는 가사의 의미에 따라 그에 적합한 음형을 표현 수단으로 삼는데, 르네상스 후기 마드리갈이나 바로크 초기 오페라 등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있다. 바로크 초반의 음악 이론가 부어마이스터는 마치 웅변에서 말의 고저나 완급, 장단등이 호소력을 이끌어 내듯 음악에서 이에 상응하는 효과를 낳는 장치들에 주목하였다. 예를 들어, 가사의 뜻에 맞춰 가락이 올라가거나, 한동안 쉬거나, 음들이 딱딱 끊어지게 ㉠ 연주하는 방식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슬픈 가사나 행복한 내용의 가사에 따라 음이 달라지는 것이지요. 단조는 주로 슬픈 느낌을 주잖아요. 이게 음형론적 효과지요. 성악에서 사용했던 이 효과를 기악에서도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정서론'을 통해 기악곡의 정서를 하나 정하면, 음을 그 정서에 맞게 표현하는 것이지요.
모차르트의 밝고 경쾌한 음을 들으면 그에 맞는 정서를 느낄 수 있잖아요. 비통해지지는 않거든요. 그게 음형의 효과지요.
차이코프스키의 '비창'을 들으면 실연의 슬픔인지, 가족의 죽음인지, 자신의 절망인지 확실치 않으나 '깊은 슬픔'을 느끼게 되는 것이지요.
(라) 바로크 후반의 음악 이론가 마테존 역시 수사학 이론을 끌어들여 어느 정도 객관적으로 소통될 수 있는 음 언어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기존의 정서론을 음악 구조에까지 확장하며 당시의 음조(音調)를 특정 정서와 연결하였다. 마테존에 따르면 다장조는 기쁨을, 라단조는 경건하고 웅장함을 유발한다.
(마) 그러나 마테존의 진정한 업적은 음악을 구성적 측면에서 논의한 데 있다. 그는 성악곡인 마르첼로의 아리아를 논의하면서 그것이 마치 기악곡인 양 가사는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주제 가락의 착상과 치밀한 전개 방식 등에 집중하였다. 이는 가락, 리듬, 화성과 같은 형식적 요소가 중시되는 순수 기악 음악의 도래가 멀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한 세기 후 음악 미학자 한슬리크는 음악이 사람의 감정을 묘사하거나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음들의 순수한 결합 그 자체로 깊은 정신세계를 보여 주는 것이라 주장하기에 이른다.